_
_
답 없는 공간: 근사한 악몽
Answer Without Answer: A Nice Nightmare

text, illustration, music, film_Bom, roya

solo exhibition
/when/ 2016.10.13-10.27
/where/ 탈영역 우정국 (Post Territory Ujeongguk), Seoul, Korea
/with/
Collaboration 1_Music: Mimyo, Ninaian, Big Baby Driver, 김인규, 김건아, 산책자들
Collaboration 2_Text: 책방 만일, 김신식
Collaboration 3_Film: 백종관
Collaboration 4_Voice: 정두이

Supported by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info
“나는 텅 빈, 흐트러진, 흐린, 정리되지 않은, 고장 난, 표지가 없이 버려지거나 방치되어 일시적으로 어떤 답이나 완성을 유예하고 있는 이 순간을 반복하기로 한다. 반복을 연장하기로 한다. 두려움이 나를 앞서려고 할 때 공터를 생각한다. 중심도, 변두리도 아닌 평평하고 널따란 땅을 떠올린다.”

<답 없는 공간: 근사한 악몽>은 내면의 침체기로 인해 무너지는 작가의 작업 세계가 외부 환경과 연관되어 어떻게 체념과 포기를 받아들이고 다시 작업을 하게 되는지를 이야기한다. 작가는 도시의 중심에서 변두리로 이주하게 되면서 느끼는 여러 가지 생활의 불편함과 개발도시와 재개발도시의 공사 현장이 갖고 있는 끝없는 파괴와 생성이 만들어내는 피로감을 작가로서의 자기-정체성과 연결 짓는다. 개발도시와 재개발도시의 기록을 통해 작업의 모티프를 찾는 이러한 과정은 결국 자신의 현실을 부정하면서 동시에 긍정하는 이중적인 태도이며, 그러한 일련의 시간과 공간의 반복적인 기록은 도태되고 있는 것 같은 자신의 상황과 그에 따른 두려움을 가시적으로 드러낸다.
끝으로 반복이 만든 두려움은 어릴 때부터 되풀이된 악몽의 공간으로 확장된다. 작가는 강박적으로 되풀이되는 악몽을 기록하기 위해 수시로 눈을 감는다. 꿈의 시공간은 완벽하게 재현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악몽은 조각조각 흩어졌다가 새롭게 가공되어 정지된 화면이 된다. 그렇게 악몽은 내적인 불안과 두려움을 탐색할 수 있는 미완의 풍경으로 남는다.
‘진짜’ 악몽은 더 이상 꿈조차 꾸지 않는 건조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꿈 꾸지마, 꿈을 버리라는 말은 그래서 잔인하다. 두려움에 잠식되지 않도록 ‘답이나 완성을 유예한 채 있는 힘껏 미완성을 반복하는 것’이 이번 작업의 실천이다. 그렇게 작가는 무너지고 있는 자신의 중심을 더 반복해서 무너뜨려 보기로 마음먹었다. 근사한 악몽은 없다.

"I decide to repeat this moment when I temporarily suspend any answer or completion, a moment vide, messy, gloomy, unorganized, broken, and left and abandoned without any sign. I decide to extend the repetition. Whenever fear comes to me, I think about an empty ground. I think about plain and vast land that is neither center nor periphery."

The work talks about the inner world of the artist collapsing due to the inner stagnation, and about how the world accepts resignation and abandonment related to the outer world and begins her art again. I relate both discomfort of life engendered by moving from downtown to suburb and fatigue engendered by incessant destruction and production of urban redevelopment to my self-identification as an artist. The process of finding out motives in documentation of urban development and redevelopment is, at last, an ambivalent attitude to deny and accept one’s own reality. The repetitive documentation of certain time and space reveals the artist’s situation of lagging behind and fear from it in a visual way.

In conclusion, fear out of repetition is expanded to space of nightmare, which has been repeated since childhood. The artist often closes her eyes in order to document the compulsively repeating nightmares. As time and space of dream cannot be perfectly represented, the nightmares are scattered in pieces and reworked into a still image. As such, the nightmares remain as an incomplete landscape where one can explore inner anxiety and fear.

‘True’ nightmare might be to obtain sterile status without any dreams. Thus, it would be cruel to say, don’t dream, or give up your dream. The work’s practice is ‘to repeat incompleteness, suspending any answer or completion,’ in order not to be encroached by fear. As such, the artist decides to tear down the already collapsing center of herself. There is no nice nightmare.

all works ⓒ Bom, ro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