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 없는 공간: 근사한 악몽》(2016-2018)과 《다독풍경》(2019) 프로젝트를 기점으로 물질세계의 뒤죽박죽 한 창발을 상상하며 장소와 몸의 불가분한 관계를 탐구한다. 각각의 프로젝트는 도시 개발의 반복적 특성과 사적인 사건을 연결하여, 인간의 이분법적 사고가 만든 경계의 흔적을 드러냈다. 이후 비인간을 포함하여, 몸을 가진 주체가 정상성을 위시한 사회 집단으로부터 통제될 때 내면화되는 모순과 저항에 관심을 두고, 관련한 당사자, 연구자, 활동가 및 예술가 등과 협업을 진행한다. 주로 주체의 일상적 현실이 타인과 얽혀 발생하는 해프닝, 사건, 머뭇거림, 잡음 등을 반복하여, 그 수행성이 공고한 경계를 허물어뜨리는 내러티브를 만든다. 이는 인간중심, 정상성, 가부장제와 자본주의로 편재된 세계에서 현현할 수 없는 존재의 정동과 미시사를 드러낸다. 이를 위해 페미니즘, 생태학, 탈성장 이론 등 비판적 담론의 의미망으로 현장 리서치와 아카이빙을 진행하고, 미디어, 드로잉, 텍스트, 퍼포먼스 등 다매체를 사용하여 시각화한다. 또한, 개인 작업 외 페미니스트 아티스트 콜렉티브 노뉴워크(2016~)의 일원으로 사회적 소수자와 연대하는 작업 및 활동을 하고 있다.

Beginning with the projects Answer Without Answer: A Nice Nightmare(2016-2018) and Landscape of Extensive Reading(2019), Bom Roya has explored the inextricable relationship between place and body by imagining the generation of the jumbled material world. Both projects connected the repetitive nature of urban development with private events, revealing the traces of boundaries created by human binary thinking. Since then, interested in the contradictions and resistances that are internalized when subjects with bodies, including non-humans, are controlled by social groups striving for normality, she has collaborated with concerned parties, researchers, activists, and artists. Her work repeats happenings, events, hesitations, and noises that are generated when the subject's ordinary reality is intertwined with the other, and the performativity in them creates narratives that demolish fixed boundaries. This reveals the affect and micro-histories of the being that cannot be present in a world dominated by anthropocentrism, normality, patriarchy, and capitalism. To do this, Bom Roya conducts field research and creates archives through critical discourses such as feminism, ecology, and degrowth theory, and visualizes them by using multimedia, such as moving images, drawings, text, and performances. She is also a member of the feminist artist collective No New Work (2016~), where she engages in art practice and social activities in solidarity with social minorities. 

Education
2011 홍익대학원 예술학과 석사 졸업
2004 숙명여자대학교 시각디자인과 학사 졸업

Selected solo exhibitions
2023 움벨트, 둠벙, 꾸르륵 프로젝트, 전시공간/플레이스막2/을지로OF, 서울
2019 다독(多讀)풍경, 스페이스 XX, 서울
2016 답 없는 공간: 근사한 악몽, 탈영역 우정국, 서울
2014 사라의 짐, 스페이스 알떼에고, 서울
2012 0페이지: 움직이는 책, 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
2009 눈물이 내리는 노래, 프린지 클럽, 홍콩/프린지 페스티벌, 마카오
2007 아구안타르 콘서트, 갤러리 아우재, 서울
2006 Tear-Drop Concert, 쌈지 일러팝, 서울

Selected group exhibitions & Shows
2024다정함이 세상을 구할거야, WWW SPACW2, 서울
공간간 공공간, 경기상상캠퍼스, 수원
메이데이 메이데이 메이데이, 111CM, 수원
모든 시공간의 예술, 전시공간, 서울
새끼-치기, 온수공간, 서울
Ways Finding, 을지로OF, 서울
2023이동성 없는 거주, 거주 없는 이동성: 옵드라데크, 서울메트로미술관/인사동 코트, 서울
서울시립미술관 모두의 연구실(세마 코랄), 온라인
광명도시대작전, 예술공간 광명시작, 광명
2022-2023 일시적 개입, 아르코 미술관, 서울 (노뉴워크 콜렉티브로 참여)
2022제9회 아마도전시기획상, 정해져있지 않은 거주지: 오드라데크, 아마도예술공간, 서울
제19회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EXIS, 서울아트시네마, 서울
프린지 블랙리스트를 말하다 3, 공간 파도, 서울
양성평등문화상 15주년 아카이브전, 괄호을 열고, 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
2021 다정한 침해, 공간 일리, 서울
여기-잇다, 수원시가족여성회관 갤러리, 수원
또다시 흐르기로 작정하였다,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땅은 잠든 적 없이, 아트스페이스 광교, 수원
죽은 아이들을 위한 노래: 안녕, Art Space 3, 서울 (공연 협업)
SAPY COLLECTION 26, 청년예술청 SAPY, 서울
2020 인사미술공간 20주년 아카이브 프로젝트 인미공 공공이공 IAS 2000-2020, 인사미술공간, 서울 (《볼》 출간물로 참여)
수원문화재단 푸른지대창작샘터 레지던시 INTRO, 푸른지대갤러리, 수원
REAL-FAKE NEWS PROJECT, 온라인 전시
2019콜라콜라보, D/P, 서울 (사유지 콜렉티브로 참여)
시인의 사랑: 거리두기 (공연 협업), 오디오 가이, 서울
바깥으로 굽는 팔, 갤러리 미술세계, 서울
2018곁눈질로 빤히 쳐다보기, 삼육빌딩, 서울
겨울나그네: 방랑의 몽타주 (공연 협업), 플랫폼 L, 서울
부드러운 지점들, 서울미디어시티 비엔날레, 서울 (사유지 콜렉티브로 참여)
구부러진 안팎, 탈영역 우정국, 서울
20172017 드로잉 페스티벌, 예술지구_P, 부산
The Great projection O, 대만예술교육미술관, 대만
도시시도 미래도시(공연 협업), 세종문화회관 세종체임버홀, 서울
A/S(After Show), 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
2016불편한 고리들: 폭력의 예감 리마인드, 청년허브 아트홀, 서울
불편한 고리들: 폭력의 예감, 알떼에고, 서울
연애의 온도, 서울미술관, 서울
2015No Frame, 플레이스 플라스크, 서울
Artist’s Portfolio, 사비나 미술관, 서울
2014콩닥콩닥 5페이지 소설전, 홍제천 갤러리, 서울
어떤 도감, 아리랑 갤러리, 부산
2013Fairy Tale: A Beautiful Story, 갤러리 지지향, 헤이리, 파주
희움 더 클래식 주최 ‘소녀와 꽃’, 텅스텐 홀, 서울
2012 so-we-side[suicide]with you, 아트스페이스 풀, 서울
독도의 꿈, 금천예술공장, 서울
The Stairs of Love, Out to box 갤러리, 마카오
2011 상상마당 레이블 마켓 ‘환상의 라인업’, 상상마당 갤러리, 서울
2010 On Trading Card On-Off Line, 워릭 대학교, 런던
2009장수의 비결, 북촌미술관, 서울
서교난장 뉴제너레이션 아트페어, 카페 VW, 서울
유랑마켓, 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
2008 아트피버 1st, 서호 갤러리, 서울
서울 디자인 올림픽 ‘아트피버 그룹전’, 잠실종합운동장, 서울
와우북페스티벌 기획전, 제일 갤러리, 서울
2007 디지털확성기, 갤러리 킹, 서울
헤이리 야외미술제, 헤이리, 파주
나진&톰보이, T-space, 서울
2006 아마추어 증폭기, 갤러리 킹, 서울
이상한 초대, 갤러리 스케이프, 서울

Selected Prize
2017올해의 양성평등문화상 신진여성문화인상 수상

Residencies
2024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서울시립미술관
2020-2021 푸른지대창작샘터, 수원문화재단